기억과 기억상실증 (Memory & Amnesia) > 분과위원회

본문 바로가기


분과위원회 ㅣ 분과위원회

그 외 분과 | 기억과 기억상실증 (Memory & Amnesia)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관리인 작성일2014-10-15 23:17 조회14,931회

본문

Chapter.VII 기억과 기억상실증
(Memory & Amnesia)

2012/01/11 06:09




Introducing
Neuropsychology


John
Stirling


 


Chapter.VII 기억과 기억상실증
(Memory & Amnesia)





¤ 기억에 대한 심리학
연구


 


 - 기억 연구에 대한 두 가지 접근


   *심리학적 접근 : 정상인의 기억구조에 대한
연구, 통합설.


   *신경심리학적 접근 : 손상 연구.


 


 - 기억의 정의


    기억이란 어떤 정보를 나중에 되살려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고 유지하는
과정.


 


 - 기억에 관한 이론적 모형


   *부호화(Incoding, 입력)


   *저장(Storage)


   *기억(회상)을 위한 인출(retrieval, 출력)


 


 - William
James
의 기억 모델


   *1차 기억(STM) : 의식의 흐름 속에
일시적이고 즉각적으로 어떤 정보를 유지시키는 것.


   *2차 기억(LTM) : 의식 수준에서
인식하지는 못하더라도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정보를 유지 하는

.


 


 - 현대의 일반적인 기억 모델


   *STM / WM +
LTM(
서술 기억+절차 기억)







   (a)기억 체계의 핵심 과정에 대한 일반 모형


   (b)인간의 기억에 대한
Akinson
Shiffrin의 다중저장고 모형.
감각정보의 입력을 감각 등록기에
서 단기 저장고로 정보가 넘어가는 것으로
개념화하였다. 정보를 암송하면 공고화가 이루어지
면서 장기 기억에
저장되고, 그렇지 않은 정보는 곧 망각된다.


 


   *암송(Rehearsal)


      +유지형 시연(암송) : 기계적인 반복으로 단기기억 유지


      +정교화 시연(암송) : 정보를 장기적인 기억으로 전환. 이미 기억하고 있는 지식과
연결시키거
나 정보들을 모아 조직화하는 과정.


 


¤ 작업
기억


 


 -
다중 저장고 모형의
문제점


  
*
암송 과정 없이도 기억이
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음에도 불구, STM에서 암송을 거친
후에
LTM
저장될 수 있다고 설명.


  
*
정보가 LTM에 일단 저장된 후 이에 다시 접근하는 메카니즘에 대한 설명이 거의 없음.


 


 -작업 기억(Working
Memory)
개념의 소개


  
*
초기의 다중저장고 모형이 갖는
문제점의 보완을 위해 Baddeley et al.에 의해 소개됨.


  
*
음운 루프(phonological loop)와 시공간 잡기장(visuo-spatial
sketchpad),
중앙 집행기
(Central
Executive)

이루어짐.


     
+
음운 루프(phonological loop)


        - 음운
저장소: 시각 정보를 말에 기초한 부호로 전환시켜 저장

         -
조음 통제과정: 내적 되뇌기(암송)를 통제


        - 제한된 기억 용량 :
2초 정도의 분량을 암송 가능


     
+
시공간 잡기장(visuo-spatial sketchpad)


        - 시각정보와 공간적 정보를 취급 (두 요소의 시공간 잡기장으로 이루어짐)


     
+
중앙 집행기(Central Executive)


        - 음운 루프와 시공간 잡기장의 활동을 감시하며 LTM과의 상호작용 여부 결정


        - 작업기억 과제에 용량을 할당하고 작업기억에 올라와 있는
정보를 업데이트


  
*
두 종속 요소간의
독립성


     
+
이중해리: 시각적 특성 처리 Vs. 공간 조작
- Farah(1988)








¤ 장기 기억







 -장기 기억에 대한 두 가지 탐구
방향


  
*
저장 용량이나
기간보다는 LTM내에서 정보의 조직화 방식


  
*LRM
을 하위 요소나 체계로
구분해야 할 필요성


 


 -외현-서술
기억과 암묵-절차-비서술 기억


  
*
많은 뇌 손상 환자들이
외현기억 수행에서 뒤떨어지지만, 암묵기억 수행은 그렇지 않다는
사실로부터 Tulving
et al.(1982)
의 연구에 의해 시작.


     
+
일화기억과 의미
기억


        - 1972
Tulving
에 의해 제안.


        - 일화기억(episodic
memory) :
전에 경험한 일에 대한 의식 수준의 기억


        - 의미기억(sementic
memory) :
의미 정보가 표상된 기억, 대상간의 관계나 단어
의미들
간 관계에 대한 지식,
객관적 사실에 근거


        - 구분의 신경 생리학적 증거 :


           1) PET(혈류 측정):
피질의 활성화 부위가 상이


           2) 좌반구(의미)와 우반구(일화)간 차이
            3) H.M.'s case :
수술 후 새로이 경험한 일화 기억에
장애



     
+
외현/서술기억과 암묵/절차/비서술 기억


        - Tulving의 구분에 대한 비판 제기


          1) 구분을 위해 사용된 검사도구가 어휘력에 지나치게
의존.


          2) 기억 상실증 환자들이 의미기억과 일화기억 모두에서
손상을 보인다는 사실로부터

두 유형의 기억이 모두외현/서술 기억 요소라는 주장이 제기됨.


        - 외현/서술적기억(Declarative
Knowledge)


          1) 사실에 관한 지식을 표상 - 의도적인 접근이 가능 / 이야기하는 것이 가능
           2)
의미 기억과 일화 기억을 모두
포함


        - 암묵/절차/비서술 기억(Procedural
Knowledge):


          1) 행위, 기술, 조작에 관한 기억 - ) 언어의 이해/습득, 자전거 타기
          2)
비의도적으로 접근 / 자동적인
처리


          3) 점화 연구의 결과로부터 뒷받침됨.


 







 


 


¤ 신경심리학적
접근


 


¤ 내측두엽성
기억상실증


 -
H.M.

사례


  
*
간질 발작으로 인해 양측
내측두엽과 양 뇌의 편도체, 해마의 앞쪽 일부분을 절제.


     
+
간질 발작의 억제는
성공, 일부 지각, 추리 능력의
정상화


     
+
심한 순행성 기억상실증과 수술
2년간의 기억에 대한 역행성 기억상실증.


     
+Milner et al.

연구에 의해 외현-서술기억은 전혀 형성할 수 없지만,
단기기억과 장기-암묵-절차 기억은 정상임을
확인.



 







 - R.B.
의 사례


  
*
심장 수술을 받는 동안 뇌의
혈류 공급 장애로 양쪽 뇌에서 CA1뉴런이 밀집되어 있는
마의 특정 영역이 영구적인 손상을 입음.


     
+
수술 후 곧 사망했으나
사망하기까지 심한 순행성 기억상실증과 수술 전 1~2년 전의
억에 대한 역행성 기억 상실증을 보임.


  
*CA1
뉴런 : Cornu Ammonis(암몬 각, Ammon's horn),
해마의 일부. 변연계 내측회로를 이루
고 있음.


 


 -
C.W.

사례


  
*
음악가였던 C.W.는 헤르페스 감염의 합병증으로 바이러스가 뇌로 침투,
HSE(
뇌염)상태가

.
HSE
는 편도체와 해마를 포함, 양쪽 뇌의 측두엽에 광범위한 손상을 일으킴.


     
+C.W.
에 대한 뇌 촬영 당시
왼쪽 측두엽은 모두 손상되고, 오른쪽 측두엽의 일부와
전두
엽 일부도 손상된 상태였다.


     
+
매우 심한 역행성 기억
상실증을 보였지만. 피아노 연주와 즉석 연주 같은 음악적인
술은 유지.


 


 -기억에 있어 내측두엽의 역할을 추론 가능.


  
*
이 영역은 STM과는 무관


  
*
해마(hippocampus)가 새로운 외현-서술기억을 장기기억으로
저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
한다. (
과정을 공고화, consolidation이라고 한다.)


  
*
장기기억이 해마에 직접
저장되는 것은 아니다.


 


¤ 간뇌성
기억상실증


 


 -
N.A.

사례


  
*
펜싱 경기 도중의 사고로 왼쪽
배측 시상과 양 뇌의 유두체(mammillary body), 유두-시상
로에 손상.


     
+H.M.
과 마찬가지로
정상적인 STM을 보였지만, 장기 서술기억에 심각한 장애를
보임


     
+
특히 언어적 정보에 대한 심한
기억상실증.


     
+
심한 순행성 기억상실증을
보였지만, 역행성 기억상실증은 그 정도가 덜함.


 


 -
코르사코프 증후(Korsakoff Syndrom)


  
*
장기간의 과도한 알콜 섭취가
영양소 섭취의 불균형과 함께 일어날 경우 기억 장애 초래.


  
*
코르사코프 증후군의 핵심
증상과 특징


     
+
심한 순행성
기억상실증.


     
+
여러 해, 혹은 전 생애에 걸친 역행성 기억상실증.


     
+
작화증(confabulation)의 발생과 출처기억(source
memory)
의 결함.


     
+
냉담하고 자신의 상태에 대한
통찰이 결여.


     
+
지능이나 추리 능력 등은
손상되지 않음.


 
*
냉담함과 작화증 등의 특징은
전두엽 상실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. 기억 상실 증상은 주로
내측 시상의 손상과 유두체 손상에서 기인한 것으로
보임.


 


 -
STM

기억상실증


  
*Sjallice & Warrington
에 의해 보고된 희귀한 사례를 통해 STM에 한정된 손상이 연구됨.


  
*STM
에 한정된 손상으로 인한
기억 상실증의 특징


     
+
실비아열 부근의 피질 영역
손상에서 기인.


     
+STM
의 작업기억중 음운
루프에 한정된 손상을 보이며 LTM은 손상이 없음.


     
+
추가 연구를 통해 이
증상은 Brodmann #40(모서리위 이랑) 부근 의
피질손상에서 비롯
된다고 알려짐.


     
+
우반구의 두정엽-후두엽 경계선 영역으로 손상이 한정될 경우는 시공간 작업기억
과제
수행에서 어려움을 겪음.


  
*STM
기억상실증 연구가 주는
중요한 시사점


     
+
서로 다른 피질 영역이 서로
다른 작업기억 요소의 손상과 관련됨.


     
+STM
손상에도 불구, LTM은 정상일 수 있으며, 이것은 두 기억 체계가 Atkinson & Shiffrin
의 모형처럼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병렬적으로 작동함을 시사한다.


     
+
두 기억은 중앙집행기의 통제를
받는 것으로 여겨지며, 중앙집행기의 위치는 배외측 전
두피질로 추정.


 


¤ 뇌영상
연구


 


 -
뇌영상과 LTM


  
*PET
fMRI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기억 인출에서 해마(hippocampus)의 활성활을 관찰.


     
+
외현기억과 암묵기억
검사(Priming 사용) 모두에서 해마의 활성화가
관찰되었지만,
현기억 검사시에 더 큰
활성화를 보임. (Squire et al. 1992)


     
+
언어 자료의 경우 좌반구
해마의 작용이 두드러지는 편재화 효과. (Squire et al. 1992)


     
+
부호화(학습)단계에서는 좌반구 전전두 피질과 좌반구 해마가 가장 크게
활성화, 재인

검사 단계에서는 우반구 전전두
피질만 활성화.(Schacter et al. 1996)


     
+
해마는 외현기억 검사에서만
활성화 된다는 주장이 제기(Schacter et al. 1996).


        -Squire의 실험은 암묵기억 과제의 수행이 외현기억에 의해
오염됨으로 인해 발생했다
는 설명 제시.(피험자에게 단어 목록을 주고 각 단어에 T모양이 몇 개나
들어있는지 세
어보도록 하는 과제를 준 다음 어간완성과제
시행 -> Squire실험에서의 오염을 극복.)


 


 -
뇌영상과 암묵
기억


  
*
암묵기억은 해마의 활성화를
요구하지 않는다. (Schacter et al. 1996)


  
*
암묵적인 기술 습득이
운동피질(Grafton et al. 1992)과 기저핵(선조체)(Doyon et al. 1997),


   
소뇌(Flament et al. 1996)의 활성화와 관련됨을 시사.
소뇌(특히 충부)와 기저핵이
암묵기
억의 핵심 부위로 여겨진다.


 


 -
작업기억에 대한 뇌영상
연구


  
*
영장류 연구를 통해 작업기억의
생리적 기초에 대한 접근이 시도됨.(Goldman-Rakic,1992)


     
+
대상 영속성에 관한 영장류
실험에서 Brodmann #46(외측 전전두엽)에 손상을
입은 원
숭이는 이러한 작업기억 과제를 특히 잘 못한다는 결과를 얻었다.


  
*
인간에 대해 같은 패러다임의
실험이 진행.(McCarthy et al. 1994)


     
+
위치기억과제에 대한 fMRI 조사 결과 양 반구의 #46에 더 큰 활성화를 보임을
확인.


      +이 실험은 공간 작업기억을 요구하는 실험이었기에
우반구가 좀 더 활성화됨.


     
+
이와 유사한 Smith et al.(1996) , Braver et al.(1997)의 연구에서도 #46의 활성화가 두드러
지게 나타남.


 


¤ 다른 형태의
기억상실증


 


 -
뇌진탕으로 인한
기억상실증


  
*
뇌에 물리적 손상이 없는 경우
일시적인 손상에 그침.


  
*
기질적 기억상실증의 일시적
상태와 유사.


     
+
순행성 기억상실증 상태
동안 STM은 영향을 받지 않음. (Regard &
Landis, 1984)


     
+
역행성 기억상실증이 제한적으로
발생하는 것은, STM에서 LTM으로 넘어가는
공고화
과정에 생긴 손상으로 추측되지만, 시간이 흐르면서 기억상실증을 일으키는 기간의 폭이 감소하는 것을 통해 인출 실패의 가능성도 생각해볼
수 있다.


 


 -
ECT
에 의한
기억상실증


  
*
약물 치료의 효과를 보지
못하는 우울증 환자의 측두엽과 전두엽 피질 영역에 전류를 흐
르게 하는 치료법으로. 종종 일시적인 기억상실을 수반한다.


 


¤ 외현/서술기억과 암묵/절차기억 논쟁의 재현


 


   *외현기억과 암묵기억의 구분 : 기억
과정에서 의식의 개입 여부


   *외현-암묵기억의 차이를 의식의 작용을 통해
설명하려는 입장 (Mandler.
1989)


      +통제적(외현적,의식적)처리와 자동적(암묵적,무의식적)처리로
설명하려는 시도


      +기질 손상에 의한 기억상실증은 의식의 손상을 보여주는 것. 기억속에 들어있는 정보에 대한

의식적 처리 능력이 상실되었을 뿐, 자동적인 처리는 손상되지 않았다고 주장.


   *외현-암묵기억의 차이에 대한 설명에 의식을
배재하려는 입장 (Cohen.
1997)


      +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마는 의식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.


      +해마의 역할을 자극들간의 연결, 새로운
자극과 기존 기억과의 연결로 봄. (서로 관계있는 기
억들 간의 망 구조를
만드는 것.)


           c.f :
서술기억 : 정보의
연합, 연결을 통한 관계 형성이 중요.


                 
절차기억 : 이미
연결되어 있고, 연합 및 관계 형성이 필요 없는 기억.


      +동물들 또한 공간 기억 등의 외현기억 과제와 조건화,
기술 학습 같은 암묵 기억 과제간에 뚜
렷한구분을 나타낸다.


      +기억상실증 환자들에게도 가능한 암묵적인 기술 기억들이 때로는 손상되어 나타나기도
한다.


   *서술기억과 절차기억으로의 구분.


      +기억상실증 환자들은 의식적 기억의 손상 때문이 아니라,
관계성을 따지는 과제를 제시받을
 때 기억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입장.(Cohen.
1997)


      +서술기억은 단순한 인출과정이 아니라,
수많은 연합 과정을 필요로 한다. 이와 같은
연합과정
은 해마를 통해 이루어 지는 것으로 추정됨.


      +절차 기억은 연합적이지도, 관계적이지도
않으며, 늘 동일한 처리과정에 연결되어 있다.


     
+
이 관점에서 접근하면, 대부분의 선행 연구를 공통된 선상에 두고 설명
가능
.
 








FAMILY SITE ▼
RELATED COM ▼

사단법인 한국인지과학산업협회


대표자 : 권희춘 | 사업자등록번호 : 119-82-10924

NACSI  |  National Association of Cognitive Science Industries


ADD : 서울시 관악구 신림로 340 르네상스복합빌딩 7층
TEL : 070-4106-1005 | E-MAIL : nacsi.office@gmail.com
Copyrightⓒ NACSI All rights reserved. 로그인 ▲ TOP